-
[ 목차 ]
LP·카세트테이프의 귀환? 복고 감성이 만든 ‘음악 굿즈 경제’
안녕하세요! 오늘도 소비의 비트를 같이 맞춰볼까요? 소비비트입니다.
저번 글에서는 '벚꽃엔딩'이 매년 반복되는 수익을 만들어내는 ‘음악 연금’의 개념을 소개해드렸죠.
오늘은 조금 더 감성적인 이야기로 넘어가 보려 해요. 바로 아날로그 음악이 다시 주목받고 있는 이유와,
그게 어떻게 새로운 소비 트렌드, 나아가 경제 흐름까지 만들어내고 있는지에 대해서 말이죠.
왜 요즘 LP판, 카세트테이프를 다시 사는 걸까?
스트리밍 시대죠.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들을 수 있는데,
왜 사람들은 굳이 무겁고 불편한 LP판이나 카세트테이프를 다시 찾는 걸까요?
전문가들은 사실 이건 단순한 ‘복고 유행’ 이상의 흐름라고 본다는군요.
레트로 감성은 물론, 소유의 감정적 가치가 더해졌기 때문이죠.
디지털 음원은 듣기에 편리하지만 ‘내 노래’라는 느낌이 부족하다 느낌은 들죠.
하지만 LP나 테이프는 실물, 그리고 소리의 따뜻함, 거기서 오는 소장 가치가 있어요.
특히 요즘 MZ세대는 단순히 ‘음악을 듣는 것’보다 ‘음악을 경험하고 간직하는 것’에 돈을 쓰는 걸 더 선호하죠.
음반을 산다는 건, 음악을 소비하는 방식이 달라졌단 뜻
과거에는 음악 CD나 LP는 음악을 듣기 위한 ‘도구’였어요.
지금은 ‘굿즈’, ‘컬렉션’, ‘감성템’이에요. 가수들도 이런 흐름을 잘 알고 있죠.
그래서 한정판 컬러 LP, 독특한 아트워크, 포스터, 미공개 사진집 등
‘음반+굿즈 패키지’를 내놓고, 팬들은 이를 사서 모으는 거예요.
실제로 아이돌 음반 판매량이 여전히 강세인 것도 이 이유 때문.
이건 더 이상 단순한 음악 시장이 아니라, 굿즈 경제의 일부라고 봅니다.
아날로그 감성, 새로운 소비 경제를 만들다
이런 흐름은 소비자만 변한 게 아니에요. 음악 산업 구조 자체도 달라졌어요.
음반 제작사는 제작 단가가 높은 대신, 고가 전략을 취해요.
LP 한 장이 4만 원 이상, 카세트도 2~3만 원 하는데도 품절되는 경우 많죠.
심지어 한정판은 중고 거래에서 웃돈까지 붙어요.
결국 이건 단순 유행이 아니라, 소장욕과 감성소비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수익 모델이 된 거예요.
디지털 세대가 아날로그 감성에 돈을 쓰는 이 흐름, 앞으로도 점점 커질 가능성이 높아 보이죠.
소리를 소유한다는 감성, 당신은 어떤 음악을 '소장'하고 싶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