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를 흔든 '강남스타일', 그 뒤엔 어떤 돈 이야기가 있었을까?
오늘도 소비의 비트를 같이 맞춰볼까요? 소비비트입니다.
저번 글에서는 벚꽃엔딩이 어떻게 ‘음악 연금’이 되었는지 살펴봤는데요,
이번엔 글로벌 신드롬을 일으킨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통해 음악 한 곡이 가진 경제적 파급력을 이야기해볼게요.
강남스타일, 유튜브가 만든 세계적 히트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로 퍼졌어요.
(도대체 2012년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중독성 있는 후렴구와 말춤, B급 감성의 유쾌한 뮤직비디오까지!
유튜브 역사상 처음으로 10억 뷰를 넘긴 영상이라는 기록도 세웠죠.
이 노래의 파급력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 K팝이 글로벌 주류로 올라서는 데 크게 기여했고,
싸이라는 이름을 세계에 각인시켰습니다.
하지만 이 현상의 핵심엔, '유튜브'라는 디지털 플랫폼과 광고 수익 모델이 있었어요.
유튜브 수익, 조회수 10억이면 얼마?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죠. "그럼 도대체 얼마 벌었을까?"
실제로 싸이의 ‘강남스타일’ 유튜브 수익은 800만~1,000만 달러(한화 약 100억 원) 정도로 추산돼요.
하지만 이건 단순 유튜브 수익만이 아닙니다.
광고 수익 (AdSense), 해외 음원 스트리밍 수익, TV·콘서트 출연료,광고 모델료, 협업 상품 판매 등등
이 모든 게 합쳐져 ‘강남스타일’은 일시적이지만 엄청난 수익을 안긴 콘텐츠가 된 거죠.
이걸 흔히 ‘히트 한방형 수익 모델’이라고 부른다고 해요.
반복해서 수익이 들어오는 ‘연금형’은 아니지만, 한 방에 큰 수익을 올리는 모델이죠.
싸이의 돈이 아닌 ‘콘텐츠 자산’의 가치
‘강남스타일’이 보여주는 건 단순히 돈을 벌었다는 얘기가 아니에요.
이건 디지털 콘텐츠의 자산화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싸이의 콘텐츠는 지속적으로 저작권 수익을 창출하고 있고, 유튜브 플랫폼에 의해 재유통되며,
여전히 전 세계에서 회자되는 브랜드 자산이에요.
특히 싸이는 이후 ‘젠틀맨’, ‘대디’, ‘댓댓’ 같은 후속곡에서도 자신만의 유머 감각과 중독성 있는 비트로
자신의 브랜드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P NATION’이라는 레이블을 통해 사업가로 확장하고 있다네요.
그저 한 곡의 성공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콘텐츠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봅니다.
한 곡의 유쾌한 노래가 세계를 뒤흔든 만큼, 여러분도 자신만의 인생의 비트를 만들어낼 준비가 되셨나요?